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삶의 목표 내 삶의 여정을 이끄는 네 가지 🌟 방향 다짐🌱 성장내면을 들여다보며 끊임없이 배우는 삶💞 관계깊은 대화를 나누는 따뜻한 존재가 되기🧘‍♂️ 마음자책보다 자비, 반응보다 관찰✍️ 표현솔직한 목소리로 누군가의 길에 등불 되기무언가를 “이루겠다”는 선언이 아니다. “나는 이런 사람이 되겠다”는 다짐이다.이 방향들이 서로를 지지해 주길 바라며, 결국 나 자신이 좋아하는 ‘나 자신’으로 완성되어 가는 여정 같은 삶을 바란다. 이 여정은 큰 것이 아니다. 매일매일 작은 루틴으로 구성된다.🌱 성장 중심 루틴“하루 질문 노트”: 자기 전에 오늘 있었던 일 중에서 느낀 점 하나만 짧게 적어보기. → 예: “오늘 내가 인내심을 가진 순간은 언제였을까?”“5분 .. 더보기
완전한 의식, 완전한 무의식은 가능한가? “완전한 의식”과 “완전한 무의식”은 단순히 반대 개념처럼 보이지만,실제로는 매우 미묘하고 철학적이며 뇌과학적으로도 복잡한 주제입니다.✅ 핵심 질문 재정의“완전한 의식 상태란 무엇인가?”“완전한 무의식 상태는 과연 가능한가?”이 두 질문은 결국 이런 문제로 이어집니다:의식은 스펙트럼인가, on/off인가?경험이라는 것은 얼마나 ‘완전’해질 수 있는가?의식은 자각의 내용이 있는 것인가, 순수한 상태가 존재하는가?1️⃣ 완전한 의식 상태란 무엇인가?💡 일반적인 의미에서 ‘완전한 의식’이란:자신의 몸, 감정, 생각, 외부 자극을 동시에 자각하고 있는 상태높은 명료성, 선명도, 깨어있음(wakefulness), 자기인식(self-awareness) 상태🧘‍♂️ 명상적 또는 철학적 의미에서 ‘완전한 의식’은?.. 더보기
주의 없는 의식이 가능할까? 이 질문은 현대 인지과학, 뇌과학, 그리고 철학의 핵심 논쟁 주제 중 하나입니다.“**주의(attention)**와 **의식(consciousness)**은 과연 같은가?”“의식 없는 주의가 가능할까?”“주의 없는 의식이 가능할까?”이 질문들에 대한 최신 연구 흐름, 이론들, 그리고 명상적 통찰과의 연결까지 정리해서 설명해 봅시다🔍 먼저 용어 정리개념 정의 의식 (Consciousness)경험하는 능력. 감각, 감정, 생각 등을 자각하고 있는 상태주의 (Attention)감각, 정보, 생각 등에서 특정한 대상에 선택적으로 포커스를 두는 과정 간단히 말해,의식 = 내가 지금 경험하고 있다는 느낌주의 = 그 중 .. 더보기
DMN 활성, 의식, 주의 DMN, 주의(attention), 그리고 의식(consciousness)은 모두 서로 영향 주고받으며 작동하는 뇌의 핵심 요소들입니다. 최신 연구들을 기반으로 정리해 봅시다.1️⃣ DMN 활성과 주의력의 관계**DMN은 ‘내적 자기서사와 자기 관련 사고’를 담당**합니다.그러나 **외부 자극에 주의해야 할 때는 억제(디액티베이션)**되며,이는 뇌가 외부 대상에 집중할 수 있도록 전환되는 메커니즘이에요sciencedirect.comsciencedirect.com+15link.springer.com+15journals.plos.org+15.**전두-두정 주의 네트워크(FPCN/DAT)**는 외부 자극에 대한 의도적" top-down" 주의집중을 담당하며,DMN과는 반대되는(anti-correlated) 활.. 더보기
자아의식, DMN 🧠 1. DMN(Default Mode Network)이란 무엇인가?🔹 정의:DMN은 뇌가 외부 자극에 반응하지 않을 때, 즉 **‘멍 때릴 때’**나 자기 생각에 잠겨 있을 때 활성화되는 기본 뇌 네트워크입니다.주요 활성 영역:내측 전전두엽(mPFC: medial prefrontal cortex)후측 대상회(PCC: posterior cingulate cortex)측두엽(angular gyrus 등)해마(기억 관련) 등🔹 DMN의 기능:1. 자기 관련 정보 처리“나는 누구지?”“내가 어제 한 행동은 어땠지?”“앞으로 나는 어떻게 될까?”→ → 이런 자기 성찰적 사고는 거의 다 DMN의 작용입니다.2. 과거 회상과 미래 시뮬레이션 (Mental time travel)DMN은 과거 기억을 불러오고 미.. 더보기
무아, 참나 🔹 1. 부처님의 핵심 가르침: 무아(無我)부처님은 이렇게 말씀하셨어요:“모든 것은 무상하고, 고(苦)이며, 아(我)가 아니다.”즉, ‘나’라는 고정된 실체는 없다.이것은 다음과 같은 의미입니다:자아라는 것은 오온(色受想行識: 몸, 감각, 지각, 의도, 의식)의 조합일 뿐이것은 순간순간 조건 따라 생기고 사라지는 현상따라서 그것을 ‘진짜 나’라고 붙잡을 수 없다.➡️ 무상(無常) + 무아(無我) → 공(空)→ 이것이 초기불교와 대승불교의 기본 입장이죠.🔹 2. 그런데 왜 참나(眞我), 배경자아 같은 말이 생겼을까?명상 수행이나 뇌과학, 혹은 자아관찰을 깊이 하면 **‘변하지 않는 듯한 어떤 주체적 느낌’**을 경험할 때가 있어요.예:“모든 생각은 변하지만, 생각을 지켜보는 ‘나’는 항상 그 자리에 있.. 더보기
화두 : 나는 무엇인가? 🔥 “나는 무엇인가?”라는 화두는 왜 강력한가?이 화두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자아의 뿌리를 직접 겨누는 질문입니다:우리는 늘 **‘나’**라는 주체를 전제로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해요.그런데 “나는 누구인가?”가 아니라 “나는 무엇인가?”라고 묻는 순간,👉 ‘나’를 관념이 아닌 대상으로 바라보게 되죠.즉, 이 화두는 ‘나’라고 믿어온 정체성의 감옥을 흔들고, 진짜 자각된 주체가 깨어나도록 유도하는 겁니다.🧠 뇌과학적 관점으로 이 화두를 보면?1. 자아는 뇌가 만든 ‘허구의 이야기’일 수 있다현대 신경과학자들은 ‘자아(self)’는 일종의 뇌 내 정보 통합장치, 즉"나라는 감각을 유지하기 위한 내레이션 시스템"이라고 말해요.예: 내가 선택하고 있다고 느끼지만, 많은 결정은 무의식적으로 먼저 일어나고뇌.. 더보기
화두, 선문답의 뇌과학적 설명 🧠 1. 화두는 ‘인지적 충돌’을 일으킨다 (Cognitive Dissonance)▪️ 뇌과학 관점:화두는 논리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질문이기 때문에, 우리의 뇌는 기존의 지식, 스키마, 신념 체계로는 이해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합니다.이런 상황을 심리학에서는 **인지부조화(cognitive dissonance)**라고 해요.예: “부처가 무엇인가요?”→ “떡 먹고 물 마셔라.”→ “...이게 무슨 소리지?” 🤯▪️ 뇌의 반응:이런 불일치 상황에서 뇌는 자동으로 해결하려고 합니다.하지만 논리적으로 해결이 안 되면, 뇌는 기존의 사고 회로를 멈추거나 재구성하게 됩니다.이게 바로 ‘깨달음’의 토대가 됩니다.🧘 2. 선문답은 전두엽의 통제 기능을 무력화시킨다 (Prefrontal Suppression)▪️.. 더보기
화두, 선문답, 깨달음 1. 화두(話頭)란 무엇인가?화두는 문자 그대로는 "말의 머리", 즉 ‘생각의 출발점’이라는 뜻이에요.하지만 선불교에서의 화두는 단순한 말이나 질문이 아니고, 이성적으로는 절대 답이 나오지 않는 질문입니다.예:“무엇이 참 나인가?”“부처는 본래 어떤 모습인가?”“개에게도 불성이 있는가?” (趙州無字公案 – 가장 유명한 화두 중 하나)“지금 이 순간, 누가 나를 생각하고 있는가?”이 질문들은 논리나 지식으로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오히려 생각 자체를 멈추게 만들고, 그 틈으로 직관적인 깨달음이 들어오도록 유도해요 2. 선문답(禪問答)이란 무엇인가?선문답은 스승과 제자 사이에 오가는 문답인데, 일상적인 의미 전달이 목적이 아니에요.대개는 의도적으로 엉뚱하거나 파격적인 말, 행동이 나와요.예:제자: “부처란.. 더보기
극우, 극좌, 파시즘 차이점과 공통점 극우와 극좌, 그리고 파시즘은 정치 이념 스펙트럼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있지만, 실제로는 몇 가지 공통점도 있습니다. 아래에 정의, 차이점, 약자에 대한 태도, 경쟁에 대한 태도, 판단기준 등을 정리해서 설명해드릴게요.1. 기본 정의 용어 정의 극우 (Extreme Right)전통적 가치, 민족주의, 권위주의, 반이민, 반다문화, 자유시장경제를 강조하는 정치 성향.극좌 (Extreme Left)평등, 집산주의, 반자본주의, 계급 철폐, 사회 재분배 등을 지향하는 정치 성향.파시즘 (Fascism)극우의 일종이지만, 일반 극우보다 더 급진적이며 전체주의·민족주의·강력한 국가주의와 폭력을 통한 통제를 지향. 개인보다는 국가를 우선시함. 2...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