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DMN 활성, 의식, 주의

DMN, 주의(attention), 그리고 의식(consciousness)은 모두 서로 영향 주고받으며 작동하는 뇌의 핵심 요소들입니다.

최신 연구들을 기반으로 정리해 봅시다.


1️⃣ DMN 활성과 주의력의 관계

→ 즉, 외부 집중 수행(task) 중엔 FPCN 활성↑, DMN 억제↓
내적 사고(resting/mind-wandering) 중엔 DMN 활성↑, FPCN 억제↓


2️⃣ 주의(attention) ≠ 의식(consciousness)의 차이

  • 주의(attention)는 특정 대상 또는 정보에 포커싱하는 과정,
    의식(consciousness)은 경험 자체입니다. 두 개념은 밀접하지만 분리되는 현상으로 여겨져요en.wikipedia.org+1neurosciencenews.com+1.
  • 실험적으로, 주의는 있지만 의식은 없는 경우, 그리고 반대로 의식은 있지만 주의는 분산된 경우 둘 다 확인된 바 있습니다.

3️⃣ "높은 주의 상태"에서 DMN과 자아감각의 변화

  • **집중해서 무엇인가를 수행할 때**,
    FPCN이 활성화되고 DMN은 억제되죠.
    자아 관련 사고 (자신에 대한 서사, 과거·미래 상상 등)가 줄어듭니다.
  • 반면, 의식 수준 자체가 감소하는 건 아닙니다.
    오히려 몰입 상태(flow, 집중 상태)에서는 의식 경험은 더욱 선명해집니다,
    단지 자아 중심의 서사가 아니라 **“지금-여기의 목표 대상에 대한 의식”**이 도드라지게 활성화되는 겁니다neurosciencenews.com+14en.wikipedia.org+14research.gatech.edu+14.

4️⃣ 최신 연구들: 뇌 네트워크의 동적 변화

🌿 1. 주의력 변화의 리듬

  • 약 20초 간격으로 FPCN과 DMN의 동기화/비동기화 패턴이 반복됩니다.
  • 휴식 중 주의력이 흐트러지거나 몰입으로 전환하는 현상은 바로 이 주기와 관련이 있어요neurosciencenews.com.

🌿 2. 명상과 의식 상태

  • 장기 명상 수행자들은 DMN 억제는 물론, 자아 서사 관련 뇌 영역 활동도 감소합니다.
  • 이 상태는 **"자아가 사라진 듯한, 비주관적인 의식 경험"**과 연결됩니다

5️⃣ 핵심 정리

개념                                       DMN 상태                      주의 상태                                              의식 수준
외부 집중(task 수행) 억제 ↓ FPCN↑, 강한 주의 “지금-대상” 집중 의식
몰입/플로우 상태 억제 중 목표 지향 위주 주의 매우 선명한 의식 경험
휴식/내적 사고 활성 ↑ 주의 이완 자아 관련 의식 활성
명상 깊은 깊은 수행 DMN 억제, 서사 ↓ 주의 흐트러짐 but 열린 의식 비주관적 의식, 무아 상태
 

✅ 결론

  1. **주의(attention)**는 **의식(consciousness)**과 연관은 있지만 구별되는 기능입니다.
  2. DMN 활성은 자아 중심의 배경 내러티브를 지원하지만,
    외부 집중이나 명상 중엔 억제되어 자아감각이 줄거나 사라집니다.
  3. 하지만 의식 자체의 수준은 줄지 않고,
    오히려 특정 대상에 깊이 몰입하면 의식 경험은 더욱 뚜렷하고 집중된 상태가 됩니다.
  4. 이 모든 과정은 FPCN과 DMN을 포함한 여러 네트워크 간의 동적 상호작용 덕분에 가능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