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 다스리기

3. 명상인 것_4

동트는새벽 2021. 5. 25. 15:03

From the Buddhist point of view, we human beings live in a very peculiar fashion. 

불교식 관점에서 보면 우리 인간이 살아가는 방식은 아주 특이하다.

 

We view impermanent things as permanent, though everything is changing all around us. 

우리는 주위 만물이 끊임없이 바뀌는 상황에서도, 일시적인 것을 영구적인 것으로 간주한다.

 

The process of change is constant and eternal. 

변화과정은 쉼없이 계속된다.

 

Even as you read these words, your body is aging. 

이 글을 읽는 동안에도, 당신 몸은 늙어간다.

 

But you pay no attention to that. 

그러나 당신은 거기에 전혀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

 

The book in your hand is decaying. 

당신 손에 들여있는 이 책도 낡아간다.

 

The print is fading, and the pages are becoming brittle. 

인쇄는 바래지고, 종이도 바스라져간다.

 

The walls around you are aging. 

당신을 둘러싸고 있는 벽도 낡아간다.

 

The molecules within those walls are vibrating at an enormous rate, and everything is shifting, going to pieces, and slowly dissolving. 

그 벽 속의 분자들은 엄청난 속도로 진동하고 있으므로, 모든 것이 흔들리면서, 서서히 부서지고 해체되고 있는 것이다.

 

You pay no attention to that either. 

그런데도 당신은 전혀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

 

Then one day you look around you. 

그러던 어느날 주변을 둘러본다.

 

Your skin is wrinkled and your joints ache. 

피부에는 주름이 잡히고 뼈마디는 아프다.

 

The book is a yellowed, faded thing; and the building is falling apart.

책은 누래져서 쓸모없는 종이뭉치 같고 집은 여기저기 내려앉고 있다.

 

 So you pine for lost youth, cry when your possessions are gone. 

당신은 잃어버린 젊음을 그리워하며, 소유물들이 없어져 버렸을 때 울음을 터뜨린다.

 

Where does this pain come from? It comes from your own inattention. 

이런 고통은 어디서 오는가? 그것은 당신 자신의 부주의에서 온다.

 

You failed to look closely at life. 

당신은 삶을 찬찬히 뜯어보지 않았다.

 

You failed to observe the constantly shifting flow of the world as it passed by.

세상의 끊임없는 그 변화의 흐름이 당신을 스쳐 지나갈 때, 당신은 그것을 눈여겨 보지 않았던 것이다.

 

 You set up a collection of mental constructions—“me,” “the book,” “the building”—and you assumed that those were solid, real entities.

그 대신 당신은 "나", "책", "집" 따위의 심상들의 세워 놓고 , 그것들이 견고하고 실체라고 여겼다.

 

 You assumed that they would endure forever. 

당신은 그것들이 영구히 지속될 것이라고 여겼다. 

 

They never do. 

그것들은 결코 그렇지 않다.

 

But now you can tune into the constant change. 

하지만 이제 당신은 끊임없는 변화에 당신을 조율할 수 있다.

 

You can learn to perceive your life as an ever-flowing movement. 

당신은 자신의 인생을, 끊임없는 흐름으로 인식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 

 

You can learn to see the continuous flow of all conditioned things. 

당신은 모두 조건지어진 것일 뿐인, 연속적인 흐름을 보는 법을 배울 수 있다.  

 

You can. It is just a matter of time and training.

당신은 할 수 있다. 그것은 단지 시간과 수행의 문제일 뿐이다.

 

Our human perceptual habits are remarkably stupid in some ways. 

우리 인간의 인식습관이란 어떤 면에서 보면 대단히 어리석다.

 

We tune out 99 percent of all the sensory stimuli we actually receive, and we solidify the remainder into discrete mental objects. 

우리는 우리가 받아들이는 감각자극 가운데 99퍼센트는 무시해 버린다. 그리고 나머지  1%를 정신적 대상물(주: 이름 붙이기)로 분류하여 응고시켜 버린다.

 

Then we react to those mental objects in programmed, habitual ways.

그러고 나서는 이미 내재화된 습관으로 이 정신적 대상물에 반응하는 것이다.

 

 

An example: There you are, sitting alone in the stillness of a peaceful night. 

예를 들어보자. 어느 평화로운 밤, 당시은 적막속에 홀로 앉아 있따.

 

A dog barks in the distance, which, in itself, is neither good nor bad. 

멀리서 개 한 마리가 짖어댄다. 이것은 그 자체로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일이다.

 

Up out of that sea of silence come surging waves of sonic vibration.

적막의 바다로부터 음파의 진동이 넘실거리며 당신에게 달려온다.

 

 You start to hear the lovely complex patterns, and they are turned into scintillating electronic stimulations within the nervous system. 

당신은 그 사랑스러운 복잡한 패턴을 듣기 시작한다. 그리고 그것들은 신경계내에서 반짝이는 전기 자극으로 바뀐다. 

 

The process should be used as an experience of impermanence, unsatisfactoriness, and selflessness. 

이 과정은 어떤 것도 영원하지 않고, 불안정해서 불만족스러우며, 나라 할만한 것이 없다는 것(을 현실로 인정하는 재료로써)의 체험으로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 전기자극이 시작되었다. 이 전기자극은 임시적인 것이며, 단지 이 육체정신결합체와 대상과의 부딪힘, 조우로부터 시작된 것일 뿐이다. 이 부딪힘으로부터 느낌의 손뼉소리가 나타날 것이다. 이 다섯가지 결합체는 손뼉소리가 싫다고 내빼기 시작할 것이고 혹은 좋다고 계속 달라붙기 시작할 것이다. 그렇게 되면 괴로움이 더 강화될 것이다. ) 

 

We humans tend to ignore it totally. 

우리 인간은 그것을 완전히 무시한다.

 

Instead, we solidify that perception into a mental object. 

대신에 우리는 이 인식을 정신적 대상물로 응고시켜버린다.

 

We paste a mental picture on it and launch into a series of emotional and conceptual reactions to it. 

우리에 그것에 정신적 심상을 덧붙이고, 일련의 정서적이고 개념적인 반응들을 만들기 시작한다.

 

“There is that dog again. He is always barking at night. What a nuisance. Every night he is a real bother. Somebody should do something. Maybe I should call a cop. No, a dog catcher — I’ll call the pound. No, maybe I’ll just write a nasty letter to the guy who owns that dog. No, too much trouble. I’ll just get ear plugs.” 

"저 개가 또 시작이군, 저 녀석은 항상 밤이면 짖어. 성가셔 죽겠어. 밤나다 정말 짜증나는 녀석이야. 누가 나서서 조치를 취해야만 해. 아무래도 경찰을 불러야겠어. 아니, 개장수가 낫겠어 - 개 수용소에다 전화를 할거야. 아니야. 개주인 녀석한테 욕을 잔뜩 써대는 거야.  아냐, 귀챦아. 그냥 귀마게를 하자."

 

These are just perceptual mental habits. 

이것들은 단지 인식의 정신적 습관일 뿐이다.

 

You learn to respond this way as a child by copying the perceptual habits of those around you. 

당신은 어릴때부터 주변사람들의 인식 습관을 따라함으로써 이런식으로 반응하는 법을 배워왔다.

 

These perceptual responses are not inherent in the structure of the nervous system. 

이런 인식반응은 신경계 속에 본래부터 담겨 있던게 아니다.

 

The circuits are there, but this is not the only way that our mental machinery can be used.

거기에는 회로만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이것이 우리의 정신 장치가 사용되는 유일한 방법이 아니다.  

 

 That which has been learned can be unlearned. 

습득된 것이기 때문에, 다시 훈련시킬 수 있다.  

 

The first step is to realize what you are doing as you are doing it, to stand back and quietly watch.

그 첫 단계가 당신이 뭔가를 하는동안,  한걸음 물러서서 조용히 지켜보면서, 당신의 상황과 당신이 하고 있는 짓을 이해하는 것, 알아채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