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음 다스리기

이성적 상태에서는 괴로울 일이 없다. 나는 지금 의식의 상태인가? 무의식의 상태인가? 나는 편안한가? 뭔가 불편한가? 릴랙스하고 있는가? 긴장하고 있는가? 틈날때마다 자주 반문해 볼일이다. '건강한 이성'의 의식상태에서는 내가 괴로울 일이 없다. 내가 세상의 흐름을 바꿀려는 목적이 있는게 아니라면, 거기에 휩쓸려 괴로워 할 필요가 없다. 이해가 안가면 '뭔가 다른 사정이 있겠지' 하고 넘어가는게 나한테 가장 이익이 크다. 세상을 바꾸고 싶다면 치뤄야 할 수고를 기꺼이 감내해야 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불만이 없다. 무의식의 불편한상태, 긴장상태에서는 나에게 실익이 없어도 여태까지의 습관때문에 고생을 자초하는 것이다. 습관적으로 재수를 바라고, 습관적으로 불평한다. 그래서 불안감과 결핍감때문에 집중력도 떨어지고 일의 효율도 떨어진다. 나의 현.. 더보기
욕망해소, 신포도 작전 몇년간 일본에서 산적이 있는데, 그 때 한국에 있는 아파트를 팔았다. 15년이었을 거다. 나름대로는 이유가 있었다. 어설픈 미니멀리즘 때문이었다. 나에게 달라붙은 모든 것들이 혹과 집착처럼 느껴졌다. 필요없는 것들을 정리하자 기분이 산뜻해지고 가벼워지는 것을 느꼈다. 그래서 집도 팔아버렸다. 집을 불살라버려야 진정한 노마드가 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것이 충동조절장애였다는 것을 아는데는 시간이 많이 걸리지 않았다. 아내는 말로는 동의했지만 상심했었다고 했다. 아내에 대한 배려가 없이 나의 기분이 좋아지기만을 바랐던 것을 보면, 단지 자아의 소아병적 자기만족에 사로잡혔던 것이다. 19년도에 한국으로 돌아오게 되어, 집을 살려고 돌아다녀 보니 팔때보다 상당히 올랐다. 전세와 매매가 차이가 없었는데, 잠시 .. 더보기
나에 대한 비난, 뒷담화를 전해듣고 마음이 심란하고 찝찝할때 내 뒷담화 하는 것을 전해 들었다. 마음이 찝찝했다. 이성적으로 생각하면, 임금님도 뒤에서는 욕한다는데, 일개 개인인 나를 뒷담화하는 사람이 없는게 차라리 이상하지 않은가? 나도 서운하게 느껴지는 사람 뒷담화 하지 않는가? 세상 모든 사람이 나를 좋아할 수 없고 확률적으로 봐도 50%는 나를 싫어하는게 정상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그것은 그의 자유이다. 내가 남의 자유를 억압할 수는 없다. 그가 나를 험담할 만한 일을 했는가 나를 살펴보고, 그런게 있다면 고치면 그만이다. 만약 그런게 없다면, 그 사람의 판단이 틀렸구나 하고 생각하면 된다. 그 사람의 판단을 바꾸고 싶다면, 그 사람에게 말하면 될 것이다. 그러나 판단을 바꾸는 것도 역시 그 사람의 몫이다. 그 사람의 판단을 바꾸고 싶은 것은 단지 나의 .. 더보기
사람의 단점만이 보인다. 남의 단점이 자꾸 눈에 보이고, 머리에 떠오르는 것은 그 사람이 내 원하는 모습과는 다르게 행동하니 그를 더 멀리하거나, 그를 내 뜻대로 바꾸라는 무의식의 신호다. 하지만 이것은 안 좋은 징조다. 그것을 맹목적으로 따르면, 나의 행복의 영토는 점점 더 좁아진다. 나는 그와 같이 있을 때는 행복할 수 없다. 만약 내가 발길 닿는 모든 곳에서 미워하는 사람을 발견하다면, 나는 발길닿는 곳 전체를 불행의 영역으로 만들고 있는것이다. 나만의 지옥으로 만들고 있는 것이다. 결국 나는 설 곳이 없을 것이다. 더 이상 도망갈 곳이 없을 것이다. 그리고 울부짖을 것이다. 나에게 왜 이런 시련을 주십니까? 누가 주었는가? 내가 만든 것을... 더 안 좋은 것은 나 자신을 미워하는 것이다. 미워하는 사람과 24시간 붙어 .. 더보기
자존감 높이기 ' 당신 스스로를 더 사랑하세요. 뭔가를 잘하지 못해도, 그렇게 힘들게 노력해서 남들에게 잘보이지 않아도, 당신은 원래 존재 자체로 사랑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나도 이 말을 들었을 때, 마음이 저렸다. 나를 인정해주며, 앞으로 행복해 질 수 있다고 다독거려주는 이런 말은 힐링, 위로가 되었다. 아, 내가 이렇게 힘들어 하는게, 스스로를 미워해서였구나. 사랑과 관심을 받고 싶고, 두렵고, 도망가고 싶은 어린아이같은 면이 내안에 있었구나. 그래서 그렇게도 타인에게 인정받고 싶어했구나. '사랑고파병'과 '인정고파병'에 걸려, 내가 존재할 가치가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그렇게도 헐떡거리며 힘겨워 했구나. 내면의 소리에 귀를 더 귀울였다. 가슴에 구멍이 뚫린 것처럼 아프고 시리다며 흐느껴 울고, 싫.. 더보기
부처님이 깨달은 것 업이 있다는 것을 깨달으셨다. 그것이 무의식이다. 즉 무의식의 존재를 깨달으셨다. 그리고 그 무의식의 형성메카니즘을 깨달으셨다. 그 무의식은 형성메카니즘은 다음과 같다. 처음에는 타의에 의해, 그리고 점차 자의에 의해, 그리고 서로간의 소통을 위한 수단인 언어를 통해 잘못된 개념이 점점 강화된다. 이것이 무의식의 시작이다. 무의식은 잘못된 개념의 덩어리, 잘못된 개념에 대한 중독, 집착 현상이다. '일시적으로 존재하는 현상(무상)이, 영원한 것으로(비아) 잘못된 개념이 형성된다. 절대적이라고 착각하는 이 개념은 점점 확고해지고 단단해지며 신념이 생긴다. 이 신념에 중독된 현상이 무의식라는 것을 간파하셨다. 그리고 사람들이 집착과 회피를 반복하며 점점 더 개념의 중독속으로 빠져들며, 이 개념의 절대성을 믿.. 더보기
3. 명상인 것_5 From the Buddhist perspective, we humans have a backward view of life. 불교의 관점에서 보면, 우리 인간은 삶을 거꾸로 보고 있다. We look at what is actually the cause of suffering and see it as happiness. 우리는 사실은 고통의 원인인 것을 바라보면서 그것을 행복이라고 여긴다. The cause of suffering is that desire - aversion syndrome that we spoke of earlier. 고통의 원인은 앞에서 언급했던 그 욕구 - 혐오 증상이다. Up pops a perception. 지각은 불연듯 갑자기 튀어나온다 It could be anything.. 더보기
3. 명상인 것_4 From the Buddhist point of view, we human beings live in a very peculiar fashion. 불교식 관점에서 보면 우리 인간이 살아가는 방식은 아주 특이하다. We view impermanent things as permanent, though everything is changing all around us. 우리는 주위 만물이 끊임없이 바뀌는 상황에서도, 일시적인 것을 영구적인 것으로 간주한다. The process of change is constant and eternal. 변화과정은 쉼없이 계속된다. Even as you read these words, your body is aging. 이 글을 읽는 동안에도, 당신 몸은 늙어간다. But .. 더보기
3. 명상인 것_3 When you relax your driving desire for comfort, real fulfillment arises. 당신 안락해지고자 하는 그 강한 갈증에서 벗어나서야, 진정한 성취감이 얻어진다. When you drop your hectic pursuit of gratification, the real beauty of life comes out. 당신이 맹목적인 욕망의 충족을 내려 놓을 때, 그때서야 진정으로 삶의 아름다움이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 When you seek to know reality without illusion, complete with all its pain and danger, real freedom and security will be yours. 당신이 실재를.. 더보기
3. 명상인 것_2 Vipassana is the oldest of Buddhist meditation practices. 위빠사나는 불교의 명상 수행법 중에서 가장 오래된 방식이다. The method comes directly from the Satipatthana Sutta, a discourse attributed to the Buddha himself. 이는 석가모니 본존의 강설인 '사념처경'에서 직접 유래한 것이다. Vipassana is a direct and gradual cultivation of mindfulness or awareness. 위빠사나는 알아차림 혹은 자각을 닦기위한 직접적이고 점진적인 수행법이다. It proceeds piece by piece over a period of years. 그.. 더보기